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117

경관 구성의 원리 1. 경관의 유형 1) 전 경관 (파노라마 경관) 사야에 제한을 받지 않고 멀리까지 트인 경관으로 자연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원, 수평선, 지형선, 높은 곳에서 시야가 가려지지 않고 멀리 퍼져 보이는 경관을 말합니다. 2) 지형경관 (천연미적 경관) 지형이 특징을 나타내고 관찰자가 강한 인상을 받는 지표 경관을 말합니다. 절벽, 산봉우리 등 주변 환경의 지표 역할을 합니다. 지형에 따라 신비함, 경외감, 놀라움 등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줍니다. 3) 위요 경관 시선을 끌 수 있는 낮고 평탄한 중심공간에 숲이나 울타리처럼 자연스럽게 둘러싸여 있는 경관을 말하며, 중심공간 주위에 둘러싸인 수직적 요소가 정적인 느낌을 자연스럽게 줍니다. 시선의 주의를 끄 수 있어 소규모의 지형도 경관으로.. 2022. 9. 24.
경관의 구성요소 조경미는 조경부지 내에 모든 조경재료를 배치함에 있어서 시, 청각적으로 보이는 점, 선, 면, 형태, 질감, 비례, 균형, 중량 등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했을 때 이루어지는 조화로 내용미, 표현미, 형태미를 말합니다. 1. 점 사물을 형성하는 기본요소이며 심리적으로 주의력을 분산 또는 집중시켜 연관성을 갖도록 합니다. 공간에 한 점이 모일 때 우리의 시각은 이 자극에 주의력이 집중됩니다. 한 점에 또 한 점이 가해지면 시선은 양쪽으로 분산되며 점과 점은 인장력을 가지게 됩니다. 2개의 조망점이 있을 때 주의력은 자극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시선이 유도됩니다. 3개의 점은 하나의 조망점을 이루고 거리와 간격에 따라 분리되어 보이거나 집단화시키려고 합니다. 점이 같은 간격으로 질서 정연하게 연속되면 단조롭고.. 2022. 9. 22.
일본의 조경양식 일본의 조경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사의주의 자연풍경식 조원이 발달하였습니다. 자연풍경을 이상화하여 독특한 축경법으로 상징화된 모습을 표현하였습니다. 기교와 관상적 가치에 치중하여 세부적 수법이 발달하였으나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면은 무시하였습니다. 조화에 비중을 두고 차경수법이 가장 활발하게 발달하였습니다. 추상적이고, 인공적인 기교를 사용하고, 관상적인 가치에 가장 치중한 정원입니다. 임천식은 침전 건물 중심이며, 정원 중심에 연못과 섬을 만드는 수법으로 자연경관을 인공으로 축경화하여 산을 쌓고, 못, 계류, 수림을 조성한 정원입니다. 회유임천식은 임천식 정원의 변형, 못 주변에 산책로가 있습니다. 다정양식은 다실을 중심으로 한 소박한 양식으로 음지식물, 상록활엽수가 있습니다. 축경식 수법은 자연경관을 .. 2022. 9. 22.
중국의 조경양식 중국정원의 특징은 경관의 조화보다는 대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자연경관 속에 인위적으로 암석, 동굴, 수목을 배치하였습니다. 태호석을 사용한 석가산 수법을 사용하였으며 직선과 곡선을 사용하였습니다. 사실주의보다는 사의주의, 회화풍경식, 자연풍경식이고 하나의 정원 속에 부분적으로 여러 비율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주 시대 대표적인 정원으로 영대와 영유가 있습니다. 영대는 정원에 연못을 파고 그 흙으로 언덕을 쌓아올려 구축한 대를 조성하였으며 낮에는 조망, 밤에는 은성명월을 즐겼습니다. 영유는 숲과 못을 갖추고 동물을 사육했으며, 왕후가 놀이터로 사용하였습니다. 과수를 심는 곳과 채소를 심는 곳, 금수를 키우는 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진 시대 진의 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하여 함양을 수도로 삼으면서 상..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