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117

여러가지 공간별 조경 설계 1. 학교 조경 1) 성격과 기능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와 정서적 안정을 얻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정서를 순환시키는 역할과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감수성을 높여줍니다. 삭막한 도시공간 내에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교류의 장소로서 중심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2) 학교조경 설계 시 고려사항 면적은 학생수의 변동을 고려하여 산출합니다. 조망과 일조를 고려하여 하루 4시간 이상 일조가 필요합니다. 배수가 용이한 토양을 사용합니다. 3) 세부 공간별 식재 기준 진입공간은 학교의 열굴에 해당하는 곳이므로 상징적인 수목을 식재합니다. 휴게공간은 학생과 교직원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녹음수를 식재합니다. 운동장은 운동장 주변에는 교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제공하고, 관목과 초본류 위주로 식.. 2022. 9. 28.
공간별 조경설계 사례 1. 단독주택 정원 1) 성격과 기능 주택에서 정원은 단순한 옥외공간이 아니라 주택의 내부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주택이 제공할 수 없는 옥외 시설로서의 기능과 미를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주택 내부에서 내다보이는 전망이 고려되어야 하며, 건물 내에서는 맛보지 못하는 휴식과 작업, 미적 체험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생활에 활력을 주는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합니다. 2) 주택정원 공간구성 주택의 공간은 전정, 주정, 후정, 작업정, 주차공간으로 구분합니다. 전정(앞뜰)은 대문에서 현관에 이르는 공간으로 주택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곳입니다. 공적인 분위기에서 사적인 분위기로 들어오는 전이공간으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이나 초화류를 식재하고 점경물을 배치합니.. 2022. 9. 25.
조경 계획과 설계의 과정 1. 목표설정 일정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합니다. 공간의 성격, 규모, 수용인원 등을 파악합니다. 2. 자료분석 및 종합 지형, 토양, 식생, 토질, 수문, 야생동물, 기후조사분석을 하고, 인구조사, 토지이용, 교통조사, 시설물 조사분석을 합니다. 전 경관, 지형경관, 위요경관, 초점경관, 관개경관, 일시경관, 세부경관을 분석하는 자료분석의 단계를 거칩니다. 자연환경 분석, 인문환경분석, 경관분석 자료를 종합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3. 자연환경분석 1) 지형 지형 및 지세파악, 진북방향, 축척, 등고선 등 예비조사가 필요합니다. 계획구역 내의 높은 곳과 낮은 곳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일정 높이마다 낮은 곳은 옅은 색, 높은 곳은 짙은 색으로 표현합니다. 2) 토양 토양은 입자의.. 2022. 9. 25.
조경계획과 설계의 개념 1. 계획과 설계의 구분 1) 계획과 설계의 비교 계획(Planning)은 목표를 설정해서 도달할 수 있는 행동 과정을 마련한 것으로 정래 행위에 대한 구상을 짜는 일을 말합니다. 합리적인 측면, 객관적인 측면이 요구되고 문제의 발견과 분석에 관련하여 논리적, 객관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 분석 결과를 서술형으로 표현해냅니다. 설계(Design)는 제작 또는 시공을 목표로 창의적인 생각을 표현한 것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구체적으로 도면 또는 스케치 등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표현적 창의성, 사고의 창의력이 요구되므로 주관적입니다. 문제의 해결과 종합에 중점을 두고 주관적, 창의성, 예술성이 강조되고 도면, 그림, 스케치로 표현됩니다. 2) 조경계획 접근 방법 토지이용 계획 중심 : 토지를 가장 적절하고 효율.. 2022.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