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공간별 조경 설계
1. 학교 조경
1) 성격과 기능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와 정서적 안정을 얻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정서를 순환시키는 역할과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감수성을 높여줍니다. 삭막한 도시공간 내에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교류의 장소로서 중심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2) 학교조경 설계 시 고려사항
면적은 학생수의 변동을 고려하여 산출합니다. 조망과 일조를 고려하여 하루 4시간 이상 일조가 필요합니다. 배수가 용이한 토양을 사용합니다.
3) 세부 공간별 식재 기준
진입공간은 학교의 열굴에 해당하는 곳이므로 상징적인 수목을 식재합니다. 휴게공간은 학생과 교직원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녹음수를 식재합니다. 운동장은 운동장 주변에는 교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제공하고, 관목과 초본류 위주로 식재합니다. 교재원과 실습원은 학생들에게 친근감이 있고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수목들과 초화류를 함께 식재합니다. 주변지역은 투시형 담장과 울타리를 설치하고, 수림대를 조성하여 차폐 역할과 함께 여름철 시원한 나무 그늘을 제공합니다.
4) 학교조경 수목의 선정기준
학교 위치의 기후, 토양 등 환경조건에 맞도록 선정하고, 사계절의 변화를 주기 위해서 개화시기와 꽃, 단풍 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수목을 선정하여 학습과 연계하면 좋습니다. 구입하기 쉽고, 병해충에 강하고 관리하기 쉬운 수종을 선택합니다.
2. 도시공원
1) 성격과 기능
도시경관을 아름답게 하여 시민의 건강, 휴양 및 정서 생활의 향상에 기여합니다. 만남의 장소로 이용하고 도시민 상호 간의 연대를 조성합니다.
2) 녹지의 분류
건폐지는 건물이 위치하는 곳을 말하며, 건폐율은 60%이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이 100㎡ 일 때, 60㎡이 건축면적이 됩니다. 여기서 건폐율이란 대지 면적 가운데 최대한 건축을 할 수 있는 면적을 나타내는 비율을 말합니다. 비건폐지는 건축물로 건폐되어 있지 않은 비건폐지를 의미한 광의의 녹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픈 스페이스로 공공녹지, 자연녹지, 전용녹지, 공용녹지 등이 있습니다.
3. 어린이 공원
1) 성격과 기능
어린이의 보건 및 정서생활 향상에 기여하고, 사회적 학습의 터전 역할을 합니다. 어린이의 놀이, 학습, 휴식, 운동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구성하며, 안전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2) 어린이 공원의 설계기준
유치거리 250m 이하, 공원면적 1,500㎡ 이상이며 놀이면적은 전 면적의 60% 이하 녹지면적 40% 이상입니다. 모험놀이터는 관리, 감독이 용이하게 정형적으로 설치합니다. 500세대 이상의 단지는 화장실과 음수전을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3) 어린이 공원 설계지침
공간구성은 경사진 곳을 만들기 위해 낮은 동산을 조성하고 아늑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잔디밭, 모래밭 등을 설치하여 정적인 놀이공간을 구성합니다. 휴게 및 감독공간은 잘 보이고 아늑한 곳이 좋으며, 직사광선을 막는 곳이어야 합니다. 여름에 그늘을 만들 수 있는 낙엽성 교목을 식재하고 병해충에 강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수종을 선택합니다. 튼튼하고 수형, 열매, 꽃 등이 아름다우며 독성, 가시가 없는 수종을 선택합니다. 가능한 한 직선을 피하고 완만한 곡선을 사용하며, 경사지는 계단보다는 유모차나 자전거의 통행이 원활하도록 램프를 설치합니다.
4. 근린공원
1) 성격과 기능
주민의 보건과 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으로 정적활동과 동적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2) 근린공원의 설계기준
도시공원법에서 유치거리는 500m 이하, 공원면적은 10,000㎡ 이상이고, 주차장은 배수를 위해 4% 이하의 경사를 둡니다. 공원시설의 면적은 40% 이하입니다.
3) 근린공원의 설계 지침
동적공간인 운동공간은 오락, 운동 등을 위한 공간, 배수가 양호하고, 경사가 5% 이하이어야 합니다. 휴게공간은 피크닉, 휴식, 자연 탐승 등을 위한 공간이고, 동적공간과 정적공간 사이에 완충공간을 배치합니다. 식재는 기존 식생을 보호하고 향토수종을 식재합니다.
5. 자연공원
1) 성격과 기능
레크리에이션에 이용될 여지를 지닌 자연경관지이며 이용자 지향적이 아닌 자원 지향적인 성격을 가집니다.
2) 자연공원 설계기준
도시 내 여러 곳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기존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도시공원법에 의한 시설 지역 면적은 20% 이내 입니다.
3) 자연공원 설계지침
진입구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수목, 석주, 문주, 장승 등을 설치하고, 출구는 주도로가 차폐되지 않도록 설계하고, 특색있는 수종을 식재합니다. 녹음수를 식재하여 녹음을 제공하며, 건물, 간판 등은 주위 경관과 조화 있게 설치합니다.
4) 자연공원의 발생
세계 최초의 자연공원은 1890년 미국 캘리포니아의 요세미티 공원입니다.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은 1872년 몬테나 주의 옐로스톤 국립공원입니다. 대한민국의 최초의 국립공원은 1967년 12월 지리산 국립공원입니다. 생물권보존지역은 설악산 국립공원과 제주도입니다.
6. 묘지공원
1) 성격과 기능
묘지이용자에게 휴식을 제공하며, 경건하고 친근감 있는 장소로 조성합니다.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2) 묘지공원 설계기준
정숙하고 밝은 곳에 10만㎡ 이상 조성하며 도시 외곽의 교통이 편리한 곳, 장래의 시가지화 될 전망이 없는 곳, 토지의 취득과 관리가 쉬운 곳 등에 조성합니다. 전망대 주변에는 큰 나무를 피하고 적당한 크기의 화목류를 배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