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재료 중 지피식물과 초화류
1. 지피식물
1) 특징
지피식물은 지표면을 낮게 피복해 주는 키가 작은 식물을 말합니다. 잔디, 맥문동, 덩굴식물류, 초본류 등 지표면을 피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물입니다.
2) 조건
지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해야 합니다. 키가 작고 다년생이며 부드러워야 합니다. 번식력이 왕성하고 생장이 비교적 빨라야 합니다. 내답압성이 크고 환경조건에 대한 적응성이 넓어야 합니다.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관리가 용이해야 합니다.
3) 효과
ㄱ. 아름다운 지표면을 만들어 주며, 직선과 곡선 또는 그 밖의 불규칙한 선과도 조화를 잘 이룹니다. 녹색의 지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그 위의 꽃, 나무, 암석 또는 인공구조물의 경관을 좀 더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ㄴ. 표면에 탄력이 있고 감촉이 좋아 운동이나 휴식을 할때 쾌적한 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ㄷ. 우천시에 축구장, 야구장, 골프장 등을 이용할 때 나지에 비해 땅이 질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ㄹ. 나지는 비가 올때 토양의 표면이 침식당합니다. 이러한 장소를 지피식물로 피복하면 빗방울에 의해 토양 입자가 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수로 인한 침식작용, 세굴현상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ㅁ. 작은 토양입자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건조해지면 바람에 날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지피식물을 식재하면 비산되는 흙 입자의 양을 감소시켜주므로 육상경기장, 공항, 병원, 공장 등에 식재합니다.
ㅂ. 기온의 저하를 완화시켜 서릿발 현상을 방지하고 동결방지합니다.
ㅅ. 맨땅에 비해 온도차를 적게하여 기온조절을 합니다.
2. 초화류
1) 개념
풀 종류인 촤초 또는 그 꽃을 말합니다. 조경에서는 일반원예에서 취급하지 않는 야생초류와 수생초류 중에서 관상가치가 높은 것을 초화류에 포함하여 이용하고 있습니다. 초화류는 경관조성 재료로 사용되며, 공원, 도로변, 학교, 공장, 주택단지에 이르기까지 화단을 조성하여 아름다움이나 색채로서의 효과가 큽니다.
2) 분류
ㄱ. 한해살이 초화류 : 맨드라미, 샐비어, 매리골드, 나팔꽃, 코스모스, 과꽃, 봉숭아, 채송화, 분꽃, 백일홍, 팬지 등
ㄴ. 어러해살이 초화류 : 국화, 베고니아, 아스파라거스 카네이션, 부용, 꽃창포, 제라늄, 도라지꽃, 옥잠화 등
ㄷ. 알뿌리 초화류 : 달리아, 칸나, 아마릴리스, 글라디올러스, 히아신스, 아네모네, 튤립, 수선화, 백합, 아이리스 등
ㄹ. 수생초류 : 수련, 연꽃, 붕어마름, 창포류, 마름 등
3) 화단의 종류
ㄱ. 평면화단
평면화단에는 화문화단, 리본화단, 포석화단이 있습니다. 화문화단은 양탄자 무늬와 같다고 하여 양탄자화단, 자수화단, 모전화단이라고도 합니다. 리본화단은 통로, 산울타리, 건물, 담장 주변에 좁고 길게 만든 화단으로 대상화단이라고도 합니다. 포석화단은 연못, 통로 주위에 돌을 깔고 돌 사이에 키 작은 초화류를 식재하여 돌과 조화시켜 관상하는 화단입니다.
ㄴ. 입체화단
입체화단에는 기식화단, 경재화단, 노단화단이 있습니다. 기식화단에는 잔디밭 중앙에는 키 큰 초화를 심고 주변부로 갈수록 키 작은 초화를 심어 사방에서 관찰할 수 있게 만든 화단입니다. 경재화단은 건물, 산울타리, 담장을 배경으로 폭이 좁고 길게 만든 것입니다. 전면 한쪽에서만 관상이 가능하므로 앞쪽에는 키가 작은 것을, 뒤쪽에는 키가 큰 것을 배치합니다. 노단화단은 경사지를 계단 모양으로 돌로 쌓고 축대 위에 초화를 심는 것입니다.
ㄷ. 특수화단
침상화단과 수재화단이 있습니다. 침상화단은 지면보다 1~2m 낮게 조성한 화단을 말합니다. 수재화단은 물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수련, 마름, 꽃창포)등을 물고기와 함께 길러 관상합니다.
4) 화단용 초화류의 조건
모양이 아름답고 키가 되도록 작고, 꽃과 가지가 많이 달려 있는 것이 좋습니다. 꽃의 색깔이 선명하고 개화기간이 길어야 하며, 건조와 바람, 병해충에 강하며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강한 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