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독주택 정원
1) 성격과 기능
주택에서 정원은 단순한 옥외공간이 아니라 주택의 내부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주택이 제공할 수 없는 옥외 시설로서의 기능과 미를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주택 내부에서 내다보이는 전망이 고려되어야 하며, 건물 내에서는 맛보지 못하는 휴식과 작업, 미적 체험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생활에 활력을 주는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합니다.
2) 주택정원 공간구성
주택의 공간은 전정, 주정, 후정, 작업정, 주차공간으로 구분합니다. 전정(앞뜰)은 대문에서 현관에 이르는 공간으로 주택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곳입니다. 공적인 분위기에서 사적인 분위기로 들어오는 전이공간으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이나 초화류를 식재하고 점경물을 배치합니다. 주정(안뜰)은 응접실이나 거실 전면의 햇빛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 배치합니다.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변에는 적절한 수목이나 시설물을 배치합니다. 퍼걸러, 정자, 목재데크, 벤치, 야외탁자, 바비큐장 등을 설치합니다. 전통조경에서는 앞뜰에는 거목을 식재하지 않습니다. 후정(뒤뜰)은 대지가 넓은 경우에는 건물의 뒤쪽에 위치하며, 좁을 경우 단순한 통로의 기능을 합니다. 외부와 시선차단, 차폐식재, 사생활을 최대한 보호하고 과수, 채소를 식재하거나 놀이시설이나 운동공간을 조성합니다. 전통조경에서는 부유층의 민간정원에서 유교의 영향으로 부녀자들을 위해 특별히 조성된 곳으로 풍수설에 따라 화계를 조성합니다. 작업정(작업뜰)은 부엌과 장독대, 세탁장소, 창고, 빨래건조대 등의 면하여 위치한 곳으로 통풍과 채광, 배수에 유의합니다. 콘크리트나 타일로 바닥을 포장하였습니다.
2. 주택단지 정원
1) 성격과 기능
단독주택의 정원과 달리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원입니다. 주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레크리에이션의 장소를 제공합니다. 규모에 따라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 단지로 나뉩니다.
2) 주택단지 설계기준
인동간격은 건물 높이, 위도, 일조시간의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택단지의 대지는 이용형태에 따라 건축용, 교통용, 녹지용으로 나뉩니다. 주택단지에서 녹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15% 이상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주택단지 설계지침
단지 내의 어린이놀이터, 공원, 휴게소는 편리하고 안전한 곳에 위치합니다. 모든 동선은 보행자 우선으로 배차하고 , 차도와 보도를 완전히 분리하고 녹음을 조성합니다. 식재장소로는 건물주변, 단지입구, 단지외곽 등에 조성합니다.
4) 식재설계
건물 가까이에는 상록성 교목을 식재하지 않습니다. 계절적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수종을 식재합니다. 단지 입구에는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수종을 식재합니다. 단지의 외곽부에는 차폐식재나 완충식재를 합니다.
3. 옥상정원
1) 성격과 기능
옥상정원은 좁은 의미로는 건축물의 옥상에 만들어지는 정원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연지반과 분리된 인공지반 위에 설치하는 모든 정원을 포함합니다.
2) 옥상정원의 설계기준
건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하중을 고려하여, 바닥의 방수 및 배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생존, 생육 토심을 고려하여 토양층의 깊이와 구성 성분 및 식생의 유지관리를 고려합니다. 관목, 지피식물 위주로 적절한 수종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겨울철의 경관을 고려하여 상록수의 비중을 높게 합니다. 식재지역은 전체면적의 1/3 이하로 식재합니다. 수분증발 억제 조치로 진흙이나 낙엽, 분쇄목 등으로 멀칭 합니다.
3) 옥상정원 설계지침
면적이 좁기 때문에 간결하게 꾸며야 합니다. 옥상의 구조가 정형적이기 때문에 터가르기도 정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을 고려하여 옥상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합니다. 옥상조경에 필요한 흙은 하중을 고려하여 경량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4) 옥상정원의 효과
옥상정원의 경제적 효과는 임대료의 수입이 증가하고,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며 건축물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시각적 효과는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고 환경적 효과, 에너지의 절약, 소음이 감소합니다.
5) 옥상조경의 구조적 조건
하중은 아주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식재층의 중량, 수목의 중량, 시설물의 중량 등은 하중에 미치는 요소입니다. 식재층의 경량화를 위하여 경량토를 사용합니다. 경량토에는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화산재, 피트모스, 부엽토 등이 있습니다.
6) 옥상조경수목의 생육 조건
천근성 수종으로 건조지, 척박지에 적합한 수종을 선택하고 뿌리 발달이 좋고 가지가 튼튼한 것, 생장속도가 느리며, 병해충에 강한 수목을 택해야 합니다.
4. 실내 조경
1) 성격과 기능
실내 조경은 생명력을 지닌 녹색의 식물체를 통하여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인 건강을 향상시켜주며,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외부공간과는 전혀 다른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선정, 소재 선택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실내조경 기능
실내공간이 가진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식물을 선정하고 설계 기법을 적용한다. 실내이기 때문에 광합성을 잘할 수 있도록 광선을 끌어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조하기 쉽기 때문에 식물 생육에 필요한 공중 습도를 높여 줍니다. 실내조경에 쓰이는 식물은 불량환경 조건에서도 잘 견디는 수종(관엽식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주택뿐만 아니라 호텔, 오피스 빌딩, 백화점, 병원 등 모든 건축물에 실내조경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 재료의 분류와 특성 (0) | 2022.09.29 |
---|---|
여러가지 공간별 조경 설계 (0) | 2022.09.28 |
조경 계획과 설계의 과정 (0) | 2022.09.25 |
조경계획과 설계의 개념 (0) | 2022.09.24 |
경관 구성의 원리 (0) | 2022.09.24 |
댓글